유동비율이란?
유동비율은 기업의 지급 능력이나 신용능력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다. 기업의 현재 자산이 안정적인지 파악하는 척도라고 보면 된다.
유동비율 계산방법
유동자산/유동부채*100
유동비율 계산법에서 볼 수 있다시피 유동비율 계산을 위해서는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를 이해해야 한다.
유동자산이란?
1년 내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현금이나 유가증권, 상품, 제품, 원재료, 저장품, 전도금 등을 포함한다. 유동자산은 당좌 자산과 재고자산으로 또 나뉜다.
- 당좌 자산: 현금화가 매우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자산
- 재고 자산: 복잡한 제조 과정이나 판매 과정을 거쳐야만 현금화가 가능한 자산
유동부채란?
1년 내에 갚아야 하는 빚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외상매입금, 지급 어음, 1년 이내 단기 차입금, 미지급금, 미지급 비용, 선수금, 예수금, 충당금 등이 유동부채에 속한다.
유동 비율이 낮은 회사는 '현금이 부족'한 상태라고 보면 된다. 즉, 이런 회사의 주식을 사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 될 수 있다.
이상적인 유동비율은 몇 퍼센트일까?
일반적으로 유동비율이 200% 이상으로 유지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두 기업의 자산과 부채가 각각 1억 원이라도 유동비율에 따라 좋은 회사와 위험한 회사로 나뉠 수 있다.
네이버 주식에서 기업의 유동비율 찾아보는 방법
네이버 주식에서 '종목분석' 탭 - '투자지표' - '안정성' 탭으로 간다.
그럼 하단에 유동비율이 적힌 테이블이 나온다.
삼천리 자전거의 유동비율은 2020년 이후로 100%를 넘었다.
알톤스포츠의 유동비율은 지난 2년간 삼천리 자전거보다는 나았다. 바람직한 유동비율 200%의 기준을 넘기고 있다.
삼성전자는 어떨까?
지난 5년간 꾸준히 안정적인 유동비율을 보인다.
박성현 작가의 책 <1타 7피 주식 초보 최고 계략>을 보면서 주식 투자 공부를 하고 있는 요즘이다. 책에서 읽고 배운 것들을 한 번 더 정리해 본다. 주식 투자 초보라면, 구입해서 두고두고 보기에 좋은 책이다. 구입해서 보고 싶은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길 바란다.
1타 7피 주식 초보 계략:장기 투자 단기 매매 분할 매수 분할 매도 자산 배분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나는 이 책을 읽고 공부가 끝나면, 조엘 그린블라트의 책을 읽고 했던 것처럼 소액의 돈으로 '세븐 스플릿 투자' 연습을 해볼 생각이다. KB증권에 7개의 주식 계좌를 만들고 세븐 스플릿 투자 연습을 할 거다. 주식 계좌는 영업일 기준 20일마다 1개의 계좌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7개의 주식 계좌를 다 만들려면 내년 1월이 되어야 한다. 그때까지 투자 공부 열심히 해서 더 성장한 내가 되어 있길 :)
돈 걱정, 시간 걱정 없이 미국 시댁과 한국 친정을 오고 가는 경제적 자유를 향해 오늘도 한 걸음 더 나아가자.
'재테크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 시 외국인 지분율을 살펴야 하는 이유 (4) | 2022.10.07 |
---|---|
주식 투자 할 때 배당주, 무조건 좋을까? 배당성향이란? (0) | 2022.10.06 |
기업 주식 투자 시 부채비율을 꼭 봐야하는 이유 (0) | 2022.10.04 |
투자할 만한 기업 찾는법, 52주 최저가 대비율과 하방경직성 알기 (0) | 2022.10.03 |
EV란? EBITDA란? EV/EBITDA란? (0) | 2022.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