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식공부 35

미국 배당귀족주(Dividend Aristocrats) 조사해보기

2021.12.17 - [재테크/주식공부] - 제3장 종목은 어떻게 골라야 하나요? 제 3장 종목은 어떻게 골라야 하나요? 여신욱 저, 제3장. 종목은 어떻게 골라야 하나요? 1. 대한민국에만 2,000개가 넘는 상장 기업이 있다. 그 많은 주식 중 소수의 기업을 골라 투자하려면 이유와 기준이 필 memms.tistory.com 어제 아침 주식 공부 후 과제로 수행하기로한 Action Plan 1을 수행해본다. Action Plan 1. '배당 귀족주' 리스트를 조사하고 적어본다. 2021 Dividend Aristocrats List | See All 65 Now | Updated Daily Immediately get a free spreadsheet of all 65 Dividend Aristocr..

<운을 극복하는 주식공부> 제 3장 종목은 어떻게 골라야 하나요?

여신욱 저, 제3장. 종목은 어떻게 골라야 하나요? 1. 대한민국에만 2,000개가 넘는 상장 기업이 있다. 그 많은 주식 중 소수의 기업을 골라 투자하려면 이유와 기준이 필요하다. 2. 수익이 나는 원리에 따라 기업을 카테고리로 나눠보면 그 산업과 개별 기업의 특징도 보인다. (앞으로 공부해 나갈 부분!) 3. 종목 발굴은 배우자를 찾는 것과 비슷하다. 나에게 잘 맞는 사람이 짠- 하고 언제 어디서든 나타나지 않듯이 나에게 큰 수익을 줄 수 있는 종목은 그렇게 자주 나타나지 않는다. 배우자를 고를 때처럼 신중해야 한다. 4. 논리적으로 앞일을 유추하지 못하는 곳에는 섣불리 발을 들여서는 안된다. 이것은 상식적인 일이고 주식에도 적용되는 말이다. 상식을 지키면 절대로 돈을 잃지 않는다. 상식이 갖춰진 뒤..

<운을 극복하는 주식공부> 제 2장 주식투자 이해하기

여신욱 저, 제2장. 주식투자 이해하기 1. 주가를 움직이는 핵심 요소는 '돈'과 '심리'다. 기업의 돈을 버는 능력 그리고 기업의 능력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감이 주가를 움직인다. 장기적으로 보면 주가는 기업의 돈 버는 능력에 맞춰 움직이다. 단기적으로 보면 주가는 사람들의 기대 심리에 따라 출렁인다. 2. 시세 차익을 내는 최고의 방법은 정상 범위 이하로 주가가 내려간 상황을 노리고, 정상범위 이상으로 주가가 높아졌을 때 팔고 나오는 것이다. 주식시장에 경험이 적은 사람이라면 가급적 '기업의 돈 버는 능력'을 고려해 매매를 하는 것이 좋다. 3. 기업에 적자가 나지 않는 한 쌓이는 돈이 늘어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많은 기업의 주가가 우상향 하는 것이다. 기업의 과거보다 미래가 더 좋아진다는 전제하에 주..

현재 주식 투자액, 비중 알기 & 2022년 시드머니 저축 목표는 7백만 원

아무 생각없이, 지식 없이 모아오던 나의 주식들을 찬찬히 돌아봤다. 비중을 생각하고 투자한 것도 아니었고, 그냥 별 생각없이 사들였다. 딱히 공부를 하거나 관리를 하지도 않았다. 그 결과 현재 나는 -50,333원의 손실을 보고 있다. 증권사 매수 금액 KB증권 국내주식 207,550 KB증권 해외주식 50,877 삼성증권 펀드 455,023 한국투자증권 해외 438,635 비트코인 11,528 오르빗체인 23,507 현금 84,464 총 투자금액 1,271,584 증권사 현재 평가 금액 KB증권 국내주식 205,950 KB증권 해외주식 44,130 삼성증권 펀드 460,188 한국투자증권 해외 408,063 비트코인 11,992 오르빗체인 6,464 현금 84,464 총 투자금액 1,221,251 노후..

<운을 극복하는 주식공부> 제 1장 복기 및 실전적용

여신욱 저, 제1장. 뭘 모르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벗어나기 * 기억해야 할 점: 1. 주식은 등수 게임이 아니다. P/F 테스트와 같다. 2. 처음 한두 번의 시도만으로 절대로 마스터 할 수 없다. 하지만 성실하게 연습하고 경험을 쌓으면 상상하지 못할 만큼 발전할 수 있다. 3. 주식투자로 부를 쌓는 과정은 '버티기 게임'이다. 중도 포기를 하지 않으면 누구나 배울 수 있다. 4. 적금의 진짜 가치는 '이자'가 아닌 참을성을 기르고 절약하는 습관을 정착시키는 '자기 통제력 훈련'의 기회다. 5. 주식투자는 원래 등락을 거치며 우상향하는 증식 방법이다. 그러니까 주가가 떨어진다고 벌벌 떨 필요가 없다. 6. 주식은 보유 기간이 1,2년으로 짧을 경우 채권보다 훨씬 위험하다. 하지만 5년 이상 투자를 유지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