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내가 보려고 적어보는,
여신욱 작가님과 북토크에서 배운 내용 기록
- 시가총액 1위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생각보다 안정적인 투자가 될 수 있다. 한국, 미국의 시가총액 1위 기업, 또는 베트남 같은 이머징 국가의 시가총액 1위에 투자를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다만 1위와 2위와 바뀔 때를 잘 알아채고 갈아타는 것은 필요하다.
- 주린이가 책을 많이 읽고 공부를 하면 성숙한 투자를 할 수 있다. 책으로 주식 공부를 할 것을 추천한다. 주식관련 도서는 크게 양서와 실용서로 나눌 수 있다. <운을 극복하는 주식공부>책은 실용서에 가깝다. 투자의 기본 철학을 알려주는 좋은 양서 중에는 <전설로 떠나는 월가의 영웅>이 있다.
- 여러 도서를 읽는 것은 퀘스트가 아니다. 오히려 너무 많은 도서를 읽으면 시간은 시간대로 쓰고 후회할 수 있다. 정말 좋은 양서 1권을 여러 번 보는 게 훨씬 도움된다.
반응형
- 사업보고서나 기업리포트를 처음에 볼 때는 어휘가 어려워서 읽기 어렵게 느껴지늰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계속 공부하다보면 익숙해 진다.
- 1주일에 1개 기업 분석이 딱 적당하다. 루틴을 가지고 공부하자.
- 단기 손실이나 단기 수익은 운에 좌우될 수 있다. 하지만 우리가 꼭 경험해봐야 할 것은 '손실을 극복한 수익'이다. 최소 1년은 참고 기다려볼 줄 알아야 한다. 이 경험을 해본 자와 안 해본자의 미래 실적은 다르다.
- 논리가 정확한 투자 아이디어의 성공을 경험해 봐야 된다. "이 기업은 언제 뛸거야" 라고 예측을 하고, 그 예측이 맞아 수익을 내는 성공경험을 2~3번만 해보면 주식에 대한 방향성이 보일 것이다.
- 주식 2~3년 차가 심적으로 더 흔들리고 힘들 수 있다. 의구심이 들기도 한다. 하지만 포기하지 않으면 분명히 고생 끝에 낙이 온다.
- 직접 투자를 하려면 무조건 공부를 해야 한다. 공부가 어려우면 아예 간접 투자를 하는게 낫다. 물론 주식 공부를 진지하게 하면서 직접투자와 간접 투자를 병행하는 것도 좋다. 어설프게 알면 모르는 것만 못하다. 하루에 1시간 이상 최소 2년 이상 공부할 각오가 아니면 직접 투자 하지 않아야 한다. 나머지를 다 포기할 각오가 아니라면 직접투자 하지 마라.
- 재무제표 보는 법은 한 번 제대로 공부하는 것이 좋다. 재무제표를 알면 더 빨리 실력이 늘 수 있다. 유료 강의들도 많고, 관련 책도 많다. 그 중 추천을 하자면 '사경인 회계사, 박동흠 회계사, 포카라(이강연)'가 쓴 책이 있다.
- 주식스터디는 꼭 들어가서 공부를 하면 확실히 도움이 된다. 스터디를 한다고 근본적으로 투자 수익률이 좋아지진 않는다. 하지만 스터디를 하며 많이 배울 수 있다.
- 기다림은..말 그대로 기다림이다. 기다려야 될 때는.. 그냥 기다려야 한다. 주식과 전혀 겹치지 않는 취미를 하나 갖자. 대표적으로 건강에도 좋은 '운동'이 좋다. 주식으로 돈 많이 벌어도 건강을 잃으면 말짱 꽝이니까!
- 153p 이해 안되는 부분 질문
"그런데 어떤 이유 때문에 6배 정도 높아진 배수로 평가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그 경우 기업의 실적이 고정되어 있더라도 주가는 2배로 올라갈 것입니다."
> 주가가 2배로 올랐는데 기업의 순이익에 변동이 없으면, PER배수가 6으로 높아진다는 말. 어쨌든 여기서 중요하게 알아둬야 하는 것은, PER, PBR등의 재무비율은 후행적으로 변한다는 것을 기억하고 너무 맹신해서는 안된다는 것. 기업의 이익이 높아지면 주가도 오른다, 는 것을 기억하자.
오늘 저자와의 만남에서 가장 크게 와 닿았고 앞으로 실질적 도움이 될 것 같은 BEST 요점 딱 2개만 뽑자면, 나의 선택은 이것! 내일도 화이팅 :)
여러 도서를 읽는 것은 퀘스트가 아니다.
오히려 너무 많은 도서를 읽으면 시간은 시간대로 쓰고 후회할 수 있다.
정말 좋은 양서 1권을 여러 번 보는 게 훨씬 도움된다.
어설프게 알면 모르는 것만 못하다.
하루에 1시간 이상 최소 2년 이상 공부할 각오가 아니면
직접 투자 하지 말자.
반응형
'재테크 > 주식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주 최저가인 기업 5개의 비즈니스 모델을 파악하기 (0) | 2021.12.23 |
---|---|
알톤스포츠 기업 조사 (0) | 2021.12.21 |
구조적 성장주 적어보기(a.k.a 내 삶에서 없으면 안 되는 물건?!) (1) | 2021.12.20 |
<운을 극복하는 주식공부> 제 4장 대체 언제 사고팔아야 하나요? (4) 주식의 적정가격이란 (0) | 2021.12.19 |
<운을 극복하는 주식공부> 제 4장 대체 언제 사고팔아야 하나요? (3) PER과 PBR (0) | 2021.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