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린이 19

[화요일 공부] 현대차 기업리포트 읽기

월요일에 읽은 산업 리포트에 관련된 기업 중 관심이 생긴 기업 이름 현대자동차 지난 6개월 동안 발행된 기업리포트 제목/애널리스트 이름 2021.07.12. 이베스트 투자증권 현대차 기업분석 / 유지웅 애널리스트 https://ssl.pstatic.net/imgstock/upload/research/company/1626054310392.pdf 2021.04.14. 유진투자증권 현대차 판매자 시장 / 이재일 애널리스트 https://www.eugenefn.com/common/files/amail//20210414_005380_leejaeil_774.pdf 2021.11.26. 삼성증권 현대차 2022년 전망: 제네시스, 디지털과 럭셔리의 상징으로 / 임은영 애널리스트 현재의 리포트가 과거와 비교해 더 긍..

우리나라의 산업에는 뭐가 있을까? 증권사 산업리포트 찾기

2021년 8월 11일 중앙일보 염재호 기자의 기사에 따르면, 2020년 우리나라 1차 산업 경제 비중은 1.92%, 제조업인 2차 산업은 35.82%, 상업이 중심인 3차 산업은 62.26%를 차지했다. 농가인구의 비중도 1955년 75.5%에서 2019년 4.3%로 하락했다. 서비스업이 압도적으로 높아지는 흐름에 대하여 김장섭 저자의 '내일의 부 1 (알파 편)' 책에 납득이 가게 자세히 나와있다. 그럼 내가 알아봐야할 것은 1,2,3차 산업 안에 또 어떤 산업이 있는지 알아내는 것이겠다. '산업리포트'라고 네이버에 검색해보니 나오는 키워드들은 다음과 같다. PCB 산업 리포트 방위산업 리포트 자동차 산업리포트 반도체 산업리포트 웹툰산업 문화콘텐츠산업 매매 산업 ...... 그냥 증권사의 산업리포트를..

여신욱 작가님과 북토크, 새로 배운점 기록

내가 보려고 적어보는, 여신욱 작가님과 북토크에서 배운 내용 기록 시가총액 1위 주식에 투자하는 것은 생각보다 안정적인 투자가 될 수 있다. 한국, 미국의 시가총액 1위 기업, 또는 베트남 같은 이머징 국가의 시가총액 1위에 투자를 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다만 1위와 2위와 바뀔 때를 잘 알아채고 갈아타는 것은 필요하다. 주린이가 책을 많이 읽고 공부를 하면 성숙한 투자를 할 수 있다. 책으로 주식 공부를 할 것을 추천한다. 주식관련 도서는 크게 양서와 실용서로 나눌 수 있다. 책은 실용서에 가깝다. 투자의 기본 철학을 알려주는 좋은 양서 중에는 이 있다. 여러 도서를 읽는 것은 퀘스트가 아니다. 오히려 너무 많은 도서를 읽으면 시간은 시간대로 쓰고 후회할 수 있다. 정말 좋은 양서 1권을 여러 번 보..

구조적 성장주 적어보기(a.k.a 내 삶에서 없으면 안 되는 물건?!)

며칠 전 아침 주식 공부 후 과제로 수행하기로한 Action Plan 2을 수행해본다. 제 3장 종목은 어떻게 골라야 하나요? 여신욱 저, 제3장. 종목은 어떻게 골라야 하나요? 1. 대한민국에만 2,000개가 넘는 상장 기업이 있다. 그 많은 주식 중 소수의 기업을 골라 투자하려면 이유와 기준이 필 memms.tistory.com Action Plan 2. 구조적 성장주 (a.k.a. 내 삶에서 없으면 안되는 물건) 뭐가 있는지 적어본다. 커피 우리 남편은 커피 중독이다. 커피 없이는 못 산다. 이 세상에 우리 남편과 같은 사람이 많겠지? 돈을 절약하기 위해 커피원두 1kg씩을 사서 몇 주동안 집에서 커피를 내려 마시는데 가끔은 스타벅스에도 종종간다. 나는 친구에게 기프티콘을 선물 할 때 가장 만만하고..

<운을 극복하는 주식공부> 제 4장 대체 언제 사고팔아야 하나요? (3) PER과 PBR

여신욱 저, 제4장. 대체 언제 사고팔아야 하나요? PER & PBR PER(Price Earning Ratio) 1. PER에서의 순이익은 이 기업이 매 순간 벌어들이는 수익에 대한 가치 평가다. 2. PER을 단순하게 봐서는 안된다. 내년에 예측되는 순이익을 반영했을 때 PER은 완전히 달라질 수 있다. 또는 미래에 대한 군중의 예상을 수시로 반영하며 PER이 변하기도 한다. 하지만 장기적인 기록을 보면 PER이 일정한 범위 안에서 움직이는 경우도 있다. 3. PER 분석이 잘 통하는 기업들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분기별, 연도별 이익의 변화가 일정하고 편차가 작은 기업 - 이익의 성장 추이가 일정한 기업 - 매출이 꾸준한 필수소비재 기업 or 서비스 기업 4. 씨티그룹, 비아콤 CBS B주 PE..

<운을 극복하는 주식공부> 제 4장 대체 언제 사고팔아야 하나요? (2) Price Ratio

여신욱 저, 제4장. 대체 언제 사고팔아야 하나요? Price Ratio 1. 재무비율은 태생부터가 주관성으로 가득 찬 '모순적 지표'다. 일단 '기업 활동을 둘러싼 각종 수치들은 수시로 '변화'한다. 매출, 이익, 자산, 현금 흐름 등은 항상 변화하는 수치다. 그러니 특정 시점의 특성 수치만 가지고 투자 판단을 해서는 안 된다. 수치가 '어떻게 변화' 했는지,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것이 우리의 숙제다. 2. 주가 대비 특정 지표의 '비율'을 다룬 (Price Ratio) 재무비율에는 PER, PBR, PSR, PCR, PDR이 있다. 한 기업이 보여 주는 특정 숫자 대비 현 주가의 비율이 어느 정도인지를 확인하기 위해 만들어진 비율들이다. PSR 기업이 만들어 낸 제품이나 서비스를..

<운을 극복하는 주식공부> 제 4장 대체 언제 사고팔아야 하나요? (1)

여신욱 저, 제4장. 대체 언제 사고팔아야 하나요? 1. 주식의 가격은 수시로 오르내리기 때문에 좋은 가격에 매매하는 게 관건이다. 2. 기업의 돈벌이에 대해 다양한 배수를 메겨 전체 가격을 가늠하는 것을 '멀티플'이라고 부른다. 3. 아주 장기적으로 봤을 때 주가는 큰 방향성을 가진다. 그리고 이 방향성을 확대해보면 자잘한 등락이 계속된다. 가장 확대된 구간의 변동성은 기업의 진정한 가치와 전혀 상관없는 흐름을 보인다. 확대된 구간의 변동성만 봐서는 초보가 매수할 만한 가격과 그렇지 못한 가격을 구분할 수가 없다. 따라서 초보들은 기업 자체의 업황과 조금이라도 비교가 가능한 '수개월', '수년'에 걸친 시계열 구간에서 판단을 내려야 한다. 4. 주식을 구매했을 때 수익이 나는 구간은 B '오해의 해소'..

<운을 극복하는 주식공부> 제 3장 종목은 어떻게 골라야 하나요?

여신욱 저, 제3장. 종목은 어떻게 골라야 하나요? 1. 대한민국에만 2,000개가 넘는 상장 기업이 있다. 그 많은 주식 중 소수의 기업을 골라 투자하려면 이유와 기준이 필요하다. 2. 수익이 나는 원리에 따라 기업을 카테고리로 나눠보면 그 산업과 개별 기업의 특징도 보인다. (앞으로 공부해 나갈 부분!) 3. 종목 발굴은 배우자를 찾는 것과 비슷하다. 나에게 잘 맞는 사람이 짠- 하고 언제 어디서든 나타나지 않듯이 나에게 큰 수익을 줄 수 있는 종목은 그렇게 자주 나타나지 않는다. 배우자를 고를 때처럼 신중해야 한다. 4. 논리적으로 앞일을 유추하지 못하는 곳에는 섣불리 발을 들여서는 안된다. 이것은 상식적인 일이고 주식에도 적용되는 말이다. 상식을 지키면 절대로 돈을 잃지 않는다. 상식이 갖춰진 뒤..

<운을 극복하는 주식공부> 제 1장 복기 및 실전적용

여신욱 저, 제1장. 뭘 모르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벗어나기 * 기억해야 할 점: 1. 주식은 등수 게임이 아니다. P/F 테스트와 같다. 2. 처음 한두 번의 시도만으로 절대로 마스터 할 수 없다. 하지만 성실하게 연습하고 경험을 쌓으면 상상하지 못할 만큼 발전할 수 있다. 3. 주식투자로 부를 쌓는 과정은 '버티기 게임'이다. 중도 포기를 하지 않으면 누구나 배울 수 있다. 4. 적금의 진짜 가치는 '이자'가 아닌 참을성을 기르고 절약하는 습관을 정착시키는 '자기 통제력 훈련'의 기회다. 5. 주식투자는 원래 등락을 거치며 우상향하는 증식 방법이다. 그러니까 주가가 떨어진다고 벌벌 떨 필요가 없다. 6. 주식은 보유 기간이 1,2년으로 짧을 경우 채권보다 훨씬 위험하다. 하지만 5년 이상 투자를 유지하..

반응형